반응형

지수이동평균 2

진입과 청산시점? 맥긴리 다이나믹(McGinley Dynamic)의 설정법과 매매법!

맥긴리 다이나믹은 금융 시장에서 매우 신뢰할 수 있는 투자 지표로 자리 잡았습니다. 공인 시장 기술자 존 R. 맥긴리가 개발한 이 지표는 시장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되는 반응형 지표로, 1997년에 처음 발표되었습니다. 맥긴리 다이나믹은 전통적인 이동평균의 단점을 보완하며, 시장의 추세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 글에서는 맥긴리 다이나믹의 계산법과 매매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를 통해 투자자들이 어떻게 시장을 예측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맥긴리 다이나믹을 활용하면 가격 분리와 휩쓸림을 최소화하고, 시장의 속도 변화에 따라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맥긴리 다이나믹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

[주식투자 기술지표 해설] MACD : 이동평균의 수렴과 확산을 활용한 매매법(방법론) (2)

1. MACD(이동평균의 수렴과 확산) 매매법 이전 MACD(이동평균의 수렴과 확산) 포스팅을 기초로 하여 이번 포스팅에서는 MACD를 사용하는 실전매매 방법을 다루겠습니다. 이하 수렴 확산선을 MACD, 지수 이동평균을 EMA로 표기하겠습니다. MACD를 활용한 매매법 기초 이동평균의 수렴과 확산을 이용한 보조지표(MACD 혹은 MAC-D)는 주가의 두 가지 EMA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주가의 추세와 지속시간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매수와 매도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CD는 통상적으로 단기(12주기) EMA에서 장기(26주기) EMA를 빼서 계산합니다. 그리고 MACD의 중기(9주기) EMA(신호선)와 MACD의 차이를 측정값으로 표시하여 검증합니다. 이와 관련한 상세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