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개념정리 : Keyfactor session 23

[주식투자 용어정리] 알아두면 돈을 버는 실전 주식투자 전문용어 정리 (공모주, 권리락, 기업공개, 물적분할, 액면분할, 유상증자, 무상증자)

실전 주식투자 전문용어 정리 코로나 대유행 이후 자산상승기에 많은 분들이 키움증권, KB증권, 삼성증권 등의 어플을 통해 주식투자를 시작하셨고, 어느새 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투자용어를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 듯합니다. 지난 [주식투자 용어정리]를 통해 어느 정도 증권사 어플에서 사용하는 예수금, 증거금 등의 기본적인 용어뿐만 아니라 시장 안정화제도, 차트를 보는 방법, 기업의 벨류에이션을 판단하는 지표 등 실전투자를 위한 핵심내용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필수는 아니지만 향후 오랜 기간 주식투자를 하실 분들을 위한 전문용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모주 공모주는 신규로 상장하는 기업이 기업공개를 통해 증권시장에 상장되는 경우, 각 투자자들에게 청약을 받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

[주식투자 용어정리] 돈을 버는 기업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용어 총정리(PER, PBR, EPS, BPS)

돈을 버는 기업분석을 위한 용어정리 주식투자 초보자분들이 키움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등 애플리케이션에서 관심이 가는 종목을 클릭하여 기업분석을 하려 하면 각종 생소한 용어들이 난무합니다. 하지만 모두 전문적으로 보이는 익숙하지 않은 용어일 뿐입니다. 투자방송이나 기사에서는 굉장히 전문적인 척을 하면서 어렵게 설명하지만 핵심원리만 파악해두면 어떤 용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돈을 버는 기업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용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은 주가가 기업이 창출하는 이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PER이 높다는 것은 주가가 기업의 이익보..

[주식투자 용어정리] 알아두면 돈이되는 주식시장 종류와 안정화 장치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공시, 관리종목, 서킷브레이커, 선물거래, 옵션거래, 프로그램매매)

주식시장 제도 및 안정화 장치 용어정리 우리나라를 포함한 글로벌 주식시장에는 다양한 시장이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투자자들은 자신이 투자하는 시장이 어떠한 종류인지 어떠한 안정화 장치가 작동하고 있는지 정리하고 있지 않은 듯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알아두면 돈이 되는 주식시장의 제도와 안정화 장치를 정리하겠습니다. 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들이 상장한 코스피 주식시장입니다. 코스피에는 상대적으로 규모(시가총액)가 크고 경영실적(영업이익)이 안정적인 기업들이 발행한 주식이 상장되어 거래됩니다. 흔히 코스피 시황이 우리나라의 경제 시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만큼 익숙한 대기업들이 주로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고 그중에서도 시가총액이 크고..

[주식투자 용어정리] 주식투자 기본용어 해설 및 활용하는 방법 (예수금, 결제일, 증거금, 미수거래, 반대매매, 신용거래, 공매도, 레버리지)

실전투자자를 위한 주식투자 기본용어 해설 HTS나 MTS를 통해 키움증권, KB증권, 삼성증권 등에서 주식투자를 어느 정도 해봤다고 자신하는 투자자도 종목을 매매해본 경험만 있을 뿐 주식투자 기본용어를 공부하고 어떻게 활용할지 정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호한 주식투자 용어들을 명확히 정리하고 증권어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전활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예수금 주식거래 및 매수를 위해 미리 넣어둔 금액이며 우리가 주식계좌에 현금을 이체한 경우 보이는 예치금을 뜻합니다. 실제로 주식을 매매할 때는 주식과 현금이 즉시 오가는 게 아니라 주식을 수령하고 거래일(증권사 영업일) 기준 2일 뒤에 입출금 되는 형태로 거래됩니다. 즉, 실제 거래에 사용할 돈을 미리 넣어둔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주식투자 용어정리] 주식투자 기본용어 해설 및 활용하는 방법 (가격제한, 상한가, 하한가, 거래량, 캔들, 저가, 시가, 종가, 고가, 액면가)

실전투자자를 위한 주식투자 기본용어 해설 주식투자를 처음시작하는 투자자에게 원론적인 투자원리 공부보다는 주식투자 용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정리하는 것이 실전투자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호한 주식투자 용어들을 명확히 정리하고 실전활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가격제한(상한가 혹은 하한가) 우리나라 증시에서는 하루동안 주가의 변동 폭의 범위를 제한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통상적인 경우에 전일 종가를 기준하여 상승 및 하락의 30% 범위로 정해집니다. 단, 정리매매 종목 등 일부 특수한 경우의 거래 종목은 가격제한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미국주식의 경우 상하한의 제한이 없습니다. 가격제한은 투자자를 보호한다는 제도적인 목적도 있겠으나 실전 투자자들의 입장에서는 도착점이 보이는..

증권사 주식거래 매수 & 매도 주문방법 총정리 및 활용하는 방법 (시장가, 지정가, FOK, IOC, 시간외종가, LOC, VWAP, TWAP)

1. 증권사 주식거래 매수 & 매도 방법 총정리 키움증권, KB증권, 삼성증권 등 다양한 증권사에서는 PC 프로그램(HTS, Home Trading System) 혹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TS, Mobile Trading System)을 통해 편리한 주식거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상 증권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관심종목을 매수 혹은 매도하려 하면 다양한 거래방법을 마주하게 됩니다. 증권사 주식거래에서 개인이 지정해야 하는 것은 종목, 수량, 금액 그리고 거래방법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목, 수량, 금액 등 핵심 요소들을 모두 정했다는 가정하에 대표적인 거래방법(시장가, 지정가, LOC, VWAP, TWAP)을 알아보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시장가 주문 시장가는 현재의 주..

[소비자물가지수 &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원인 및 투자전략 (인플레이션이 기업실적에 미치는 착시효과)

1.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에 관하여 실전 주식투자의 관점을 정리하자면 소비자물가의 '바구니'라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라는 바구니 안에 구성항목이 많으나 겉에서 볼 때는 바구니에 담긴 무게를 어림잡아 짐작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합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 우리가 마트에서 장을 본다고 생각해봅시다. 필요하다 보니 이것저것을 넣다 보니 어느새 카트가 가득 찼습니다. 이제 이것을 장바구니에 넣어봅시다. 카트로 밀고 다닐 때는 몰랐으나 실제로 들어보니 무게가 상당합니다. 이상의 예시가 적절할지는 모르겠으나, 소비자물가지수의 핵심을 정리하겠습니다. 첫 번째, 각 경제주체는 각자의 수요에 따라 지출을 발생시킵니다. 즉, 각 경제주체는 각자의 수요에 따라 민간소..

[주식투자] 경기 순환 사이클을 이해하여 돈을 버는 방법 (투자심리, 주식투자 원리, 경기 구간별 대응방법)

1. [주식투자] 경기 순환 사이클을 이해하여 돈을 버는 방법 (투자심리, 주식투자 원리) 오늘은 경기 순환 사이클을 이해하기 위해 주식시장을 포함한 경기 순환을 바라보는 시각에 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경기 순환 사이클은 반복된다.'는 것을 활용하여 우리는 어떻게 주식을 투자하여 현금흐름을 증폭하고 돈을 벌 수 있을까요? 경기순환에 따라 투자심리도 변화한다. 우리는 이전 포스팅을 통하여 현재 경기는 둔화기를 거쳐 침체기로 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렇다면 하락장을 겪으며 주식시장을 떠나는 투자자들의 심리는 어떨까요? 그 과정을 잠시만 상상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모든 것이 비관적으로 보입니다. 모두가 불황의 시기가 온다고 합니다. 경기지표들은 정점이 지나 둔화하였고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되며..

[주식투자] 실물경제 경기 사이클을 확인하는 방법 (소매판매증가율, ISM 구매관리자지수, 재정수지)

1. [주식투자] 실물경제 경기 사이클을 확인하는 방법 (소매판매 증가율, ISM 구매관리자지수)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투자에 중요한 경기 사이클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경제지표인 소매판매 증가율과 ISM 구매관리자지수를 살펴보겠습니다. 각각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본 경제주체가 발생시키는 현금흐름 중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생산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즉, 기업이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가 소비자들의 소비로 이어져 기업의 실적과 국내 총생산이 증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경제지표입니다. 소매판매 증가율과 ISM 구매관리자지수의 추세판단과 해석 첫 번째, 소매판매 증가율 지표는 코로나 대유행으로 2020년 4월 극심한 침체 이후 백신의 도입에 따라 경제활동이 회복하고 상승하여 2021년 4월 고..

[주식투자] 하락장에도 돈을 버는 투자방법 (복리효과, 경기 사이클)

1. [주식투자] 돈을 버는 투자방법 (복리효과) 우리는 보통 주식투자자입니다. 현재 상대적으로 적은 자산으로 주식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매월 본업과 부업을 통해 얻은 근로소득은 생활비로 지출하여 잔고가 바닥을 보이거나 남은 주식투자금은 만족스럽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장기적으로 가치를 보존하고 증식하는 주식과 부동산 등의 자산에 투자하겠다는 목적은 뚜렷합니다. 이제 보통의 주식투자자가 확실하게 돈을 버는 주식투자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현금흐름을 증폭하는 복리효과 첫째, 리스크만 추구하는 일방적인 주식투자방법에서 벗어난다. 둘째, 거시경제상황과 산업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지표에 기반하여 능동적으로 투자한다. 셋째, 사전 계획 외 주변의 공포, 불확실성, 의심 등 FUD(Fear, Uncertainty, D..

반응형